seo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작업 성공 사례+실습 양식&체크리스트 포함)

구글SEO 실무 7단계 방법은 1단계 웹사이트 구조 점검, 2단계 브랜드 공략 키워드 설계, 3단계 SEO콘텐츠 타깃 키워드 선정, 4단계 SEO콘텐츠 기획/작성, 5단계 SEO콘텐츠를 바이럴할 SNS콘텐츠 기획/작성, 6단계 SNS+SEO콘텐츠 연결해 성과 극대화하기, 7단계 UTM파라미터&CTA 설계해 그로스마케팅 기법 적용하기로 이루어집니다. 이 전략을 이용하면 SNS콘텐츠를 통해 빠르게 고객을 유입시키고 SEO콘텐츠를 통해 고객을 설득하는 과정을 구축해 고객 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나르AI
2025.04.163분 소요

1. 구글SEO란? AI시대에서 새로 정의되는 구글SEO

구글SEO(검색엔진최적화)란 구글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잘 이해해 검색 결과에 반영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모든 활동을 뜻합니다.

구글SEO 작업은 크게 3분야로 나눠지는데요.

  • 개발 작업으로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 테크니컬SEO(Technical SEO)
  • 콘텐츠 내용(제목, 설명, 본문)을 개선하는 온페이지SEO(OnpageSEO)
  • 링크를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를 유입하는 오프페이지SEO(offpageSEO)


구글이 부동의 1위 검색 엔진인 해외와 달리 한국에서는 네이버라는 터줏대감이 버티고 있어 구글SEO은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24년 하반기에 구글 검색 점유율이 37.61%까지 오르면서 판도를 흔들고 있지만 아직도 한국의 구글SEO 트렌드는 해외에 비해서 2~3년 늦다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그러다 보니 구글 검색엔진최적화(SEO)에 관련된 많은 오해가 아직도 정설로 받아 들여집니다.

  • 테크니컬SEO 작업을 하지 않으면 구글 검색 상위노출이 안 된다.
  • 업체를 통해 백링크(외부에서 내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구매해야 상위노출이 된다.
  • 구글SEO는 콘텐츠 100편은 업로드해야 성과가 나기 시작한다.


과거에는 일정 부분 설득력이 있는 견해였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1-1. 2025년 구글SEO 알고리즘은 어떻게 작동할까?

현재 SEO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강조하는 건 콘텐츠의 품질인데요.

미국의 대표적인 SEO에이전시 Firstpagesage가 발표한 The 2024 Google Algorithm Ranking Factors에 따르면 콘텐츠 관련 요소가 구글 상위노출 알고리즘의 무려 57%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2024 구글 상위노출 알고리즘 요소
2024 구글 상위노출 알고리즘 요소 

1-2. 구글이 공표하고 전문가들이 입증한 구글SEO 최적화의 의미

구글에서 공표하는 검색엔진최적화 가이드에서도, SEO전문가들이 주최하는 각종 컨퍼런스에서도 강조하는 건 검색 유입 사용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직접 그 내용을 확인해 보셔도 좋습니다.


구글SEO 작업은 소수 개발 전문가나 백링크를 퍼다 줄 수 있는 업체들이 지배하는 게임이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은 글을 이해하고 품질을 가릴 수 있는 AI가 구글 검색 알고리즘에 탑재돼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현시점에서의 구글 검색엔진최적화는 하나의 검색어에 대해서 최선의 답을 주는 압도적인 콘텐츠를 제작해 널리 알리는 것이라 단언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2. 고객이 찾아오게 만드는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

그렇다면 이제 문제는 어떻게 압도적인 퀄리티의 콘텐츠를 만드느냐 하는 점이겠죠?

지금부터는 따라 쓰기만 하면 퀄리티 높은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는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를 설명드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도 함께 공유드리겠습니다.

어디에도 이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 SEO콘텐츠 작성 가이드는 없을 거라 자부합니다. 한 단계도 빼놓지 않고 정성들여 작성하면 분명 원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7단계까지 모두 설명드리고 마지막에는 실습 양식과 체크리스트도 무료로 공유드릴테니 꼭 한번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 실습 양식이 담긴 구글 시트 사진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 실습 양식

 

2.1. 1단계 - 웹사이트 구조 점검

글쓰기 부업으로 SEO콘텐츠를 만드는 게 아니라, 비즈니스적으로 SEO콘텐츠를 제작한다면 3가지 작업이 선행돼야 합니다.

  1. 사용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돼 SEO콘텐츠를 보는지 확인한다.
  2. 콘텐츠를 다 읽은 후에는 어디로 안내할지 결정한다.
  3. 최종적으로 어떤 성과를 만들어 낼지 KPI를 결정한다.

위 3가지 사항을 바탕으로 한 고객 유입 경로 분석으로 SEO콘텐츠 유입 전후 단계의 웹사이트 구조를 전체를 점검해야 합니다. 


고객유입 경로 분석으로 웹사이트 구조 점검
B2C와 B2C 중 어떤 비즈니스냐, SNS 광고와 콜드메일/콜드콜 영업 중 어떤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느냐에 따라 고객 유입 시나리오는 각각 다릅니다.


고객 유입 시나리오 예시

  1. 검색 유입 → SEO콘텐츠 → 웹사이트 홈 → 회원 가입
  2. SNS광고 → 웹사이트 홈 → 블로그 → 서비스 소개 페이지 → 제안서
  3. 영업 메일 → 서비스 소개 페이지 → 웹사이트 홈 → 블로그
나르 웹사이트 유저 유입 경로가 그려져 있는 피그마 캡처 사진
나르 웹사이트 고객 유입 시나리오


정답은 없습니다. 핵심은 SEO콘텐츠를 덩그러니 두지 않고 고객 경험이라는 큰 틀에서 역할을 지정하고 SEO콘텐츠를 포함한 고객이 통과하는 모든 섹션의 메시지를 통일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메인에서는 “우리는 품질이 높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데 블로그 콘텐츠에서는 “우리는 가격이 저렴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전하는 실수를 해서는 안됩니다.

웹사이트에서 품질을 강점으로 어필하고 있다면 블로그 콘텐츠에서도 맥락을 함께하여 우리 브랜드 상품의 품질이 왜 높은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나와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고객 경험이라는 넓은 관점에서 각 섹션과 SEO콘텐츠의 메시지를 통일해 매끄러운 연결을 만들 때 구글SEO 작업은 성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공유드리는 체크리스트와 예시를 참고해서 고객 유입 시나리오를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1단계 - 웹사이트 구조 점검 체크리스트(+답변 예시)

✅ Check List 1 : 고객들은 어떤 경로를 거쳐 웹사이트 유입돼 SEO콘텐츠를 소비하는가?
(예시) 나르SNS(youtube, eoplanet, kakaotalk) -> 나르 블로그 → 나르 엔터프라이즈 홈 -> 서비스 소개서 -> 상담 요청

✅ Check List 2 : 경로의 각 섹션은 어떤 메시지로 통일돼 있는가?
(예시) SNS+SEO마케팅의 장점만을 더한 SocialSEO마케팅은 빠르고 확실한 성과를 낸다

✅ Check List 3 : 고객 1,000명이 들어왔을 때 몇 명이 전환 되는가?
(예시) 1000명 중 82명 (약 8.2%)



2.2. 2단계 - 브랜드 공략 키워드 설계

웹사이트 구조 점검이 끝났다면 브랜드 공략 키워드를 설계할 차례인데요.

키워드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고객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아래 자료처럼 가상의 고객을 설정하여 페르소나(Persona)를 정의해 두는 게 가장 좋은데요.

페르소나 정의와 예시를 담은 사진
페르소나 정의 목적과 예시

 

만약 페르소나 정의까지 할 여력이 없다면 “우리 고객들은 어떤 세계관을 갖고 있을까?”하는 고민을 해보면 좋습니다. 

누군가는 좋은 옷을 ‘비싸지만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이라 생각하고 누군가는 ‘저렴해서 부담 없이 입을 수 있는 옷’이라 생각합니다. 이 두 사람은 패션이라는 한 분야에 대해 서로 다른 세계관을 갖고 있는 거죠.

타깃하는 고객들의 세계관을 설정하면 그들이 어떤 고민하고 있을지 추측해 보는 작업이 가능합니다. 최대한 많은 팀원들과 아이디어 회의를 하면서 고객들의 고민을 도출하고, 그 고민을 해결해 줄 내용을 콘텐츠로 제작하면 고객들의 공감과 신뢰를 쉽게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고객 정의가 끝나면 키워드 설계 작업으로 돌입합니다.

SEO마케팅에서 키워드는 크게 4가지로 나눠집니다.

  • 시드 키워드 : 모든 콘텐츠 제목에 들어가는 핵심 키워드(ex. B2B, SEO, 콘텐츠마케팅)
  • 유입 키워드 : 우리 브랜드의 타깃 고객이 정보를 찾기 위해 입력하는 키워드(ex. 구글SEO란, 검색엔진최적화 뜻, 구글SEO 방법, B2B마케팅 전략)
  • 전환 키워드 : 우리 브랜드의 타깃 고객이 상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입력하는 키워드(ex. SEO대행사, SEO에이전시, B2B마케팅 성공 사례, B2B마케팅 회사, B2B마케팅 제안서)
  • 브랜딩 키워드 : 우리 브랜드만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키워드(ex. 나르AI, SocialSEO, 현명한 반자동화)


키워드 설계를 할 때 유념해야 할 점은 키워드 너머에 있는 숨어 있는 고객 니즈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SEO마케팅 성공 사례’로 검색했다면 표면적으로는 SEO마케팅 성공 사례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함일 겁니다.

하지만 그 속에 숨은 니즈는 “SEO마케팅을 해야 하는데 어떻게 성과를 내지?”, “성공 사례를 다수 보유해 실력이 입증된 SEO대행사를 찾고 싶다”일 수 있습니다.키워드 설계는 고객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수수께끼를 푸는 과정과 비슷한 거죠.

방법론 없이 무작정 고민할 수는 없으니 SEO컨설턴트들이 키워드를 설계 할 때 흔히 쓰는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1. 경쟁사 블로그 콘텐츠의 키워드를 분석한다.
  2. 타깃 고객이 활동하는 커뮤니티에 접속해 그들의 질문을 모은다.


AI를 활용해 키워드를 몇 천개씩 뽑아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무작정 많은 키워드를 수집하는 게 아니라 그 키워드를 입력하는 고객들의 마음에 가까워 지는데 있습니다.

아래 공유드리는 체크리스트와 답변 예시 그리고 위에 소개드린 두 가지 방법으로 우리 브랜드가 타깃하는 고객들이 어떤 키워드를 입력하는지, 브랜드 타깃 키워드를 설계해 보시길 바랍니다.

2단계 - 브랜드 공략 키워드 체크리스트(+답변 예시)

✅ Check List 1 : 우리의 고객은 어떤 세계관을 갖고 있는가?
(예시) 고객과의 신뢰 형성은 자동화론 불가능하다. 고객 문제를 해결해 주려는 진정성이 있어야 가능하다.


✅ Check List 2 : 우리의 고객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예시) 고관여 상품/서비스를 판매하고 있는데 영업 메일과 전화로는 고객 확보가 어렵다.

✅ Check List 3 :  우리 브랜드가 점령해야할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B2B, SEO, 콘텐츠마케팅

✅ Check List 4 : 우리의 타깃 고객이 정보를 찾기 위해 입력하는 검색어는 무엇인가?
(예시) 구글SEO란, 검색엔진최적화 뜻, 구글SEO 방법, B2B마케팅 전략

✅ Check List 5 : 우리의 타깃 고객이 상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입력하는 검색어는 무엇인가?
(예시SEO대행사, SEO에이전시, B2B마케팅 성공 사례, B2B마케팅 회사, B2B마케팅 제안서

✅ Check List 6 : 우리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활 수 있는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나르AI, SocialSEO, 현명한 반자동화



2-3. 3단계 - 타깃 키워드 1개, 서브 키워드 3개 선정하기

1~2단계는 제작하는 모든 SEO콘텐츠에 적용하는 공통 단계이고, 3단계부터는 개별 콘텐츠를 제작할 때마다 진행하는 콘텐츠별 단계입니다.

가장 먼저 할 건 1개의 타깃 키워드와 3개의 서브 키워드를 선정하는 건데요. 이 작업은 타깃 키워드 1개 선정 → 경쟁 콘텐츠 분석 → 서브 키워드 3개 선정으로 이루어 집니다.

먼저 타깃 키워드 1개 선정은 아래 프로세스 대로 진행합니다.

  1. 유입/전환 중 타깃 키워드 목표 설정
  2. 타깃 키워드 선정
  3. 타깃 키워드 의도 분석
  4. (선택) 타깃 키워드 검색량 측정


3-2 경쟁 콘텐츠 분석
타깃 키워드 선정이 끝났다면 해당 키워드에서 어떤 콘텐츠들이 상위노출 돼 있는지 확인합니다.

구글 검색화면 첫 페이지 1~5위에 있는 콘텐츠는 구글 알고리즘이 최선의 답을 준다고 판단한 콘텐츠입니다. 일종의 모범답안이죠.

상위노출로 검증된 콘텐츠들의 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면 상위노출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럼 '구글SEO'라는 키워드로 경쟁 콘텐츠를 분석해 볼까요?

 

먼저 나의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은 검색 결과를 보기 위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시크릿 창으로 엽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 스크릿창 사진
구글 크롬 브라우저 스크릿창


다음으로 결정한 타깃 키워드로 구글 검색을 하고 상위노출 돼 있는 1~5위 콘텐츠의 내용을 모두 확인합니다.

시크릿창에서 구글SEO 키워드 구글 검색 결과가 나오는 사진
구글SEO 구글 검색 결과


1~5위 경쟁 콘텐츠를 읽으며 중제목(Heading 2)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수집합니다. 수집한 중제목에서 반복되는 내용들을 서브 키워드 3개를 선정할 때 활용합니다.

구글SEO 검색 후 상위노출 돼 있는 콘텐츠의 중제목(Heading 2) 취합하는 사진
구글SEO 검색 후 상위노출 돼 있는 콘텐츠의 중제목(Heading 2) 취합


경쟁 콘텐츠들을 모두 확인했다면 타깃 키워드에서 상위노출 돼 있는 이 콘텐츠들이 검색 이용자들에게 어떤 면에서 유익한지 고객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노출 된 콘텐츠 대비 경쟁력을 확보하는 차별화포인트를 설계합니다. 차별화포인트는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나만의 경험이 될 수도 있고, 무료 양식이나 템플릿 첨부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고객들이 “와 이렇게 유익한 콘텐츠가 있네”라고 느끼도록 무엇이든 해야 합니다.

꼭 기억하세요. 상위노출 돼 있는 콘텐츠와 똑같은 내용과 형식을 취한다면 절대 그 콘텐츠들을 이기고 상위노출에 성공할 수 없습니다.

다음은 이렇게 구상한 초안을 바탕으로 서브 키워드 3~4개 선정할 차례인데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구글 검색 결과에 나오는 연관 검색어를 참고하는 방법입니다.

구글SEO 검색시 나오는 연관 검색어를 보여주는 사진
구글SEO 검색시 나오는 연관 검색어

 

두 번째 방법은 구글 검색 키워드를 분석해 주는 유료 툴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Mangools, Keyword Tool, ahrefs와 같은 키워드 분석툴을 이용하면 더 많은 연관 검색어와 검색량까지 볼 수 있어 조금 더 전략적으로 서브 키워드를 고를 수 있습니다.

키워 분석툴 Mangools에서 ‘구글SEO’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나오는 사진
키워 분석툴 Mangools에서 ‘구글SEO’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3-3 서브 키워드 3개 선정하기

경쟁 콘텐츠 분석으로 현재 상위노출된 콘텐츠들에서 어떤 내용이 공통적으로 나오는지, 이 콘텐츠들 대비 차별점을 만드려면 무엇을 추가해야 하는지, 우리의 타깃 키워드를 검색한 사용자가 또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는지 세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서브 키워드 3개를 선정하면 3단계는 끝납니다.

이때 키워드 분석툴을 이용해 검색량은 많고 경쟁도는 낮은 키워드를 찾으면 더욱 좋습니다

내용이 많아 복잡할 수 있는데요. 아래 공유드리는 체크리스트와 예시를 활용하시면 수월하게 작성 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타깃 키워드 1개, 서브 키워드 3개 선정하기(+답변 예시)

✅ Check List 1 : 타깃 키워드는 유입/전환 중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예시) 전환

✅ Check List 2 : 타깃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구글SEO

✅ Check List 3 : 사용자들은 왜 이 키워드를 검색하는가?
(예시) 구글SEO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싶어서(+구글SEO 전문가를 찾고 싶어서)

✅ Check List 4 : 타깃 키워드의 월 검색량은 얼마나 되는가?(키워드 분석툴 활용)
(예시) 월 2,400회(24.12.04 mangools 기준)

✅ Check List 5 : 1위에 랭크된 콘텐츠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가? (중제목 - Heading 2 기준)
(예시) SEO 기본 가이드 (구글)
1. Google 검색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2.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면 얼마나 걸리나요?
3. Google이 내 콘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4. 사이트 구성하기
5. 사이트를 재미있고 유용하게 만들기
6. Google 검색에 사이트가 표시되는 방식에 영향 미치기
7. 사이트에 이미지 추가 및 최적화하기
8. 동영상 최적화하기
9. 웹사이트 홍보하기
10. 무시해야 할 사항
*같은 방식으로 5위까지 정리

✅ Check List 6 : 상위노출된 5개 콘텐츠는 검색자에게 어떤 최선의 답을 제공하는가?
(예시) 구글SEO에 관한 기본 지식부터 실무 지식까지 폭 넓은 내용을 긴 콘텐츠로 제공한다.

✅ Check List 7 : 상위노출된 경쟁 콘텐츠 대비해서 어떻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인가?
(예시) 같은 내용을 다루되 기본 지식에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실무 지식에는 템플릿을 첨부한다

✅ Check List 7 : 첫 번째 서브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구글SEO I 가이드

✅ Check List 7 : 두 번째 서브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구글SEO I 성공 사례

✅ Check List 7 : 세 번째 서브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구글SEO I 작업

 

 

2-4. 4단계 - SEO콘텐츠 기획/작성

이제 본격적으로 콘텐츠를 작성하는 단계인데요. 순서는 목차 기획하기 → H태그 적용하기 → 글 작성하기 순입니다.


4-1 목차 기획하기
일반적인 글쓰기에서는 목차를 꼭 세우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SEO글쓰기는 제목과 소제목에 키워드를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목차 기획은 필수입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선정해 둔 타깃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를 이용하면 됩니다.

  • 제목 = 타깃 키워드 + 서브 키워드 포함해 작성
  • 소제목 1 = 첫 번째 서브 키워드 포함해 작성
  • 소제목 2 = 두 번째 서브 키워드 포함해 작성
  • 소제목 3 = 세 번째 서브 키워드 포함해 작성



4-2 H태그 적용하기
H태그는 쉽게 말해 컴퓨터가 알아듣기 쉽게 목차를 작성하는 방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H태그에는 Heading 1,2,3, Text, Caption, Alt tag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Heading 1 = 대제목(글 제목)
  • Heading 2 = 중제목
  • Heading 3 = 소제목
  • Text = 본문
  • Caption = 부연 설명
  • Alt tag =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
  • Description = 전체 내용 요약

 

목차에 H태그에 적용할 때 기억해야 할 건 3가지 입니다.

  1. Heading 1(글 제목)은 1번만 사용한다.
  2. Heading 2는 3~5개 정도 사용한다.
  3. 이미지를 활용할 때는 꼭 Alt tag를 넣어서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게 한다.
  4. Description은 구글 스니펫 노출을 위해 콘텐츠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다.



4-3 글 작성하기
목차에 H태그까지 적용했다면 이제 기획한 목차대로 글을 쓸 차례입니다. SEO글쓰기의 핵심을 요약한다면 “AI에게 초안 작성 + 자료 조사를 맡기고 사람은 경험한 지식을 추가하고 카피라이팅에 집중해 매력적인 글을 완성한다”로 줄일 수 있습니다.

ChatGPTClaude 같은 척척박사들을 이용해도 좋고, Narr AI처럼 SEO콘텐츠 제작에 집중한 글쓰기AI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와 답변 예시를 참고해서 글을 완성해 보시길 바랍니다.

4단계 - SEO콘텐츠 기획/작성(+답변 예시)

✅ Check List 1 : 이 콘텐츠의 제목은 무엇인가? (타깃&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작업 성공 사례, 실습 양식&체크리스트 포함)

✅ Check List 2 : 제목을 중심으로 콘텐츠 핵심 내용을 3문장으로 요악한다면?
(예시) 구글SEO 실무 7단계 방법은 1단계 웹사이트 구조 점검, 2단계 브랜드 공략 키워드 설계, 3단계 SEO콘텐츠 타깃 키워드 선정, 4단계 SEO콘텐츠 기획/작성, 5단계 SEO콘텐츠를 바이럴할 SNS콘텐츠 기획/작성, 6단계 SNS+SEO콘텐츠 연결해 성과 극대화하기, 7단계 UTM파라미터&CTA 설계해 그로스마케팅 기법 적용하기로 이루어집니다. 이 전략을 이용하면 SNS콘텐츠를 통해 빠르게 고객을 유입시키고 SEO콘텐츠를 통해 고객을 설득하는 과정을 구축해 고객 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 Check List 3 : 이 콘텐츠이 첫 번째 소주제는 무엇인가? (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구글SEO란? AI시대에서 새로 정의되는 구글SEO

✅ Check List 4 : 이 콘텐츠이 두 번째 소주제는 무엇인가? (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고객이 직접 찾아오게 만드는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

✅ Check List 5 : 이 콘텐츠이 세 번째 소주제는 무엇인가? (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구글SEO 작업 스타트업 성공 사례

✅ Check List 6 : 이 콘텐츠이 네 번째 소주제는 무엇인가? (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구글SEO 7단계 실습 양식&체크리스트 다운로드

✅ Check List 7 : 이 콘텐츠이 다섯 번째 소주제는 무엇인가? (서브 키워드 포함해서 작성)
(예시) 구글SEO 작업이 어려우신가요?



2.5. 5단계 - SEO콘텐츠를 바이럴할 SNS 콘텐츠 기획/작성

일반적인 SEO콘텐츠 작성 가이드에서는 4단계에서 끝납니다.

하지만 SEO콘텐츠를 심혈을 기울여 완성해서 업로드 한다고 해도 성과는 절대 나오지 않습니다. 콘텐츠를 보러 와 줄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이죠.

물론 글이 좋다면 3개월, 6개월 정도 지나면 구글 검색 순위가 올라가고 사람들이 들어오기 시작할 겁니다. 하지만 6개월 뒤 성과를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마케팅에 투자를 할 정도의 여력을 가진 회사는 많지 않을 겁니다.

SEO콘텐츠로 성과를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SNS를 활용해서 사람들이 SEO콘텐츠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만드는 거죠!


SNS콘텐츠로 유입 경로 만들기
SEO콘텐츠를 만들었다면 이 내용을 바탕으로 또 다른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핵심만 요약해서 짧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고, 이 콘텐츠가 왜 중요한지 필요성을 환기하는 콘텐츠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때 꼭 유념할 점은 계정을 보유한 SNS에 아무 곳에나 업로드 하는 게 아니라 타깃 고객이 몰려있는 SNS나 커뮤니티를 찾아 업로드하는 것입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쓰레드, 각종 커뮤니티, 카카오톡 단톡방 등 제작한 SEO콘텐츠의 내용을 가치 있다고 느낄만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을 찾아 가세요. 딱 100명만 SEO콘텐츠로 방문하도록 유도하면 검색 순위에서 급격한 상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업로드 할 때 주의할 점
SNS에 홍보하려다 SEO콘텐츠가 검색 누락 되는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SEO콘텐츠 내용을 그대로 옮겨 SNS에 업로드하는 경우인데요. 구글은 네이버, 인스타그램, 쓰레드, 각종 커뮤니티의 콘텐츠를 전부 취합하기 때문에 중복 문서가 있으면 둘 중 하나는 검색 결과에서 누락 시킵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도 콘텐츠를 복사-붙여넣기해서 업로드 해서는 안됩니다.

SEO콘텐츠 바이럴를 위해 SNS콘텐츠를 만들 땐 새로운 말로 SEO콘텐츠 내용을 요약하거나, 새로 콘텐츠를 기획해 SEO콘텐츠가 중요하다는 점만 각인하는 전략을 취하는 게 좋습니다.

5단계 - SEO콘텐츠를 바이럴할 SNS 콘텐츠 기획/작성(+답변 예시)

✅ Check List 1 : SEO 콘텐츠를 요약하는가 혹은 읽을 이유를 주는가?
(예시) SEO 콘텐츠를 읽을 이유를 주는 별도의 콘텐츠

✅ Check List 2 : 기획한 SEO콘텐츠를 유익해할 사람들이 모인 곳은 어디인가?
(예시) 유튜브, EO플래닛, 스타트업/사업 관련 카카오톡 단톡방

✅ Check List 3 :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어필되는 제목인가?
(예시) 직접 안 해보면 절대 모르는 구글 상위노출 SEO 로직 완벽 정리

✅ Check List 4 : 이 콘텐츠 핵심 내용을 3문장으로 요악한다면?
(예시) 구글에서 공표하고 전문가들이 입증한 구글 상위노출 알고리즘은 구글 가이드라인에서 이야기 하는 건 우리가 너희 웹사이트를 볼 수 있게 열어주고, ”사람들에게 유용함을 주는 콘텐츠를 적절한 키워드를 배치해서 완성하고 널리 알려라”이다



2-6. 6단계 - SNS+SEO 콘텐츠 연결해 성과 극대화하기

5단계에서 SNS 콘텐츠를 만들었다면 이제 SEO콘텐츠와 연결할 차례입니다.

SNS-SEO콘텐츠를 잇는 두 개의 CTA(Call To Action : 행동을 유도하게 하는 문구)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 SNS콘텐츠에서 SEO콘텐츠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문구
  • SEO콘텐츠에서 SNS콘텐츠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문구

 

어떻게 SNS와 SEO콘텐츠를 연결해야 하는지, 실제 사례로 보여드릴테니 링크로 접속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사업계획서 콘텐츠에서 스타트업 커뮤니티 EO planet -> 블로그 유입을 유도하는 구성 예시

주제 :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전략 : SEO콘텐츠의 앞 부분 핵심 요약, 전체 내용과 무료 양식 받고 싶으면 SEO콘텐츠로 접속하라고 유도 


SNS 콘텐츠 링크 : https://eopla.net/magazines/12327


SEO 콘텐츠 링크 : https://hatchhiker.com/blog/사업계획서-작성-가이드-실제-사례와-무료-양식-포함

 

인스타그램 마케팅 콘텐츠에서 스타트업 커뮤니티 EO planet -> 블로그 유입을 유도하는 구성 예시

주제 : 인스타그램 마케팅 트렌드

전략 : SEO콘텐츠의 결론만 요약, 전체 내용과 후킹 문구 10가지 보고 싶으면 SEO콘텐츠로 넘어오라고 유도


SNS 콘텐츠 링크 : https://eopla.net/magazines/19206 


SEO 콘텐츠 링크 : https://hatchhiker.com/blog/인스타그램-마케팅-2024년-최신-트렌드와-성공-사례+후킹-문구-10가지

 

더불어 아래 제공드리는 체크리스트와 답변 예시도 참고해서 SNS와 SEO콘텐츠를 연결할 CTA를 설계해 보시길 바랍니다.

6단계 - SNS + SEO 콘텐츠 연결해 성과 극대화하기 체크리스트(+답변 예시)

✅ Check List 1 : SNS콘텐츠 마지막에 어떤 문구를 통해 SEO콘텐츠로 유도할 것인가?
(예시) 간략한 설명만 듣고 제가 제안드린 SocialSEO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으실 것 같은데요. 여기까지 봐주신 분들을 위해서 소개해드린 이 전략을 바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실습 템플릿까지 받아 볼 수 있는 링크를 전달드리겠습니다.

✅ Check List 2 : SEO콘텐츠에 어떤 문구를 넣어 SNS콘텐츠를 다시 보도록 유도할 것인가?
(예시)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로 달성한 성공 사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7. 7단계 - UTM파라미터 설치로 그로스마케팅 기법 적용하기

이렇게 6단계까지 해서 콘텐츠 제작의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남은 건 콘텐츠의 성과를 측정해서 개선해 나가는 거겠죠?

마케팅 퍼널을 구축하고 방문한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 성과를 개선하는 방법을 그로스마케팅 기법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그로스마케팅 전반을 다룰 순 없으니 나중에라도 그로스마케팅 기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가장 먼저 해두어야 하는 UTM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해드리고, UTM파라미터를 관리하는 시트까지 공유드리겠습니다.


UTM파라미터란?

뜻 : URL에 붙이는 일종의 표식으로 UTM파라미터가 달린 링크를 타고 들어온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음.

용도 : 유튜브, 인스타그램, 네이버/메타 광고 등 여러 매체에서 웹사이트로 유입될 때 각각 매체별 데이터를 추적하고 성과를 비교할 수 있음.

예시 : https://narr.ai?utm_source=instagram&utm_medium=social&utm_campaign=closebeta_0925

 

UTM파라미터 종류와 예시

utm_campaign: 마케팅 캠페인의 이름은? (ex. openbeta1022, christmas, paid_a)

utm_source: 사용자가 이 링크를 클릭하는 공간은? (ex. facebook, google, naver, kakao, mail, youtube)

utm_medium: 이용한 마케팅 매체는? (ex. newsletter, blog, social, cpc, display)

utm_content: 광고 소재는? (ex. usp_a, usp_b, usp_c)

utm_term: 광고 타겟이나 키워드는? (ex. seomarketing, salesservice, homepage)



UTM파라미터 관리 시트 다운받기(구글 시트)

나르 엔터프라이즈팀에서 사용하는 UTM파라미터 관리 시트를 공유드리겠습니다. 구글 시트 여시고 [파일]에서 [사본 만들기]를 통해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  UTM파라미터 관리 시트 무료 다운

나르 엔터프라이즈 팀에서 사용하는 UTM파라미터 관리 구글 시트를 보여주는 사진
나르 엔터프라이즈 팀에서 사용하는 UTM파라미터 관리 시트

3. 구글SEO 작업 스타트업 성공 사례

“이정도까지 하면 성과가 나올 수밖에 없겠네”라고 생각이 들 만큼 길고 긴 과정을 지나왔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 설명드린 구글SEO 7단계 실무 가이드를 적용 했을 때 실제 성과가 나오는지 궁금한 분들도 계실 것 같아 실제 구글SEO 작업으로 성과를 낸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해치하이커 팀 블로그 SEO 작업 성공 사례로 구글 서치 콘솔 데이터와 이를 요약한 내용이 담겨 있음
Hatchhiker.com SEO마케팅 전 후 구글서치콘솔 데이터 비교
(23.7.12~24.1.31 vs 24.2.1~24.11.6)

이번 아티클에서는 데이터만 보여드렸는데요.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이나 유튜브 영상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구글 상위노출 알고리즘 분석부터 직접 실행해 성과를 내는 과정까지 상세히 정리해두었습니다.

-> 블로그 아티클로 읽기

-> 유튜브 영상으로 보기


4. 구글SEO 7단계 실습 양식&체크리스트 다운로드

마지막으로 이번 아티클에서 설명드린 구글SEO 7단계 가이드를 직접 실행해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실습 양식과 체크리스트가 담긴 구글 시트를 공유드립니다.

구글 시트 여시고 [파일]에서 [사본 만들기]를 통해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 구글SEO 7단계 실습 양식&체크리스트 무료 다운

구글SEO 7단계 가이드 실습 양식 구글 시트가 보여지는 사진
구글SEO 7단계 가이드 실습 양식(예시 포함)

5. 구글SEO 작업, 혼자서 어려우시다면

이번 아티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드리긴 했지만 구글 SEO 작업은 개발+글쓰기+콘텐츠그로스마케팅적 사전 지식이 있어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반 세팅만 잘 해두면 그 다음부터는 콘텐츠 제작에만 힘을 쓰면 되기 때문에 초기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현명한 선택입니다.

구글SEO 작업을 혼자하기 어려우시다면 상담 문의를 통해 고민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검토해 고민을 함께 해결해드리겠습니다.

> 상담 문의 남기기

관련 게시물

구글 상위노출, 이 2가지 모르면 불가능합니다

구글 상위노출에 성공하려면 검색엔진최적화된 목차를 기획하고 도입부에서 독자들의 체류 시간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목차는 현재 1~5위 상위노출된 콘텐츠들의 내용, 키워드 연관 검색어, 최근 순위 상승 콘텐츠를 참고해야 하고, 도입부에서는 처음 7문장 안에 기대감을 불러 일으켜 독자들이 끝까지 글을 읽을만한 확실한 이유를 줄 수 있어야 합니다.

2025.04.165분 소요

초보자를 위한 홈페이지 SEO 최적화 필수 세팅 1편 : HTML 태그 적용(+예시&적용 가이드 포함)

홈페이지 SEO 최적화를 위해서는 검색엔진 봇이 페이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각 페이지별로 올바른 HTML 태그(Title, Meta Description, Heading, 이미지 Alt 등)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검색엔진은 사람처럼 이미지를 보며 직관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HTML 태그를 기반으로 페이지 주제나 목적을 분석하기 때문에, 페이지마다 고유한 태그를 설정해두면 상위 노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Title과 Meta Description에는 핵심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하고, 헤딩 태그(H1, H2, H3 등)는 콘텐츠의 구조와 우선순위를 반영하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이미지에는 꼭 Alt 속성을 부여해 검색엔진과 시각장애인용 스크린리더가 이미지 내용을 인지하도록 돕고, 로봇 태그나 캐노니컬 태그, 키워드 태그, 문자 인코딩 설정 등도 적절히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개발자가 있는 경우 직접 <head> 영역에 코드를 기입하고, 홈페이지 제작 솔루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페이지의 SEO 설정 기능을 통해 태그를 적용해볼 수 있으며, 이렇게 기본 태그 세팅을 완비하면 검색 결과에서의 노출도와 전환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5.04.165분 소요